본문 바로가기
정보

슈링크플레이션 알고 계시나요?

by 띄영s 2023. 12. 22.
반응형

여러분들은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일반적으로 편의점, 대형마트등에서 구입하는 물품 중에 이렇게 슈링크플레이션 현상을 보이고 있는 제품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어떤 뜻이고 어떤 현상인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지금부터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슈링크플레이션 뜻


물가상승
물가상승

반응형

슈링크(shrink) 줄어들다, 인플레이션(inflation) 물가상승을 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로 슈링크플레이션이라고 말합니다.

이것을 풀어서 설명해 본다면 일반적으로 물가상승은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슈링크플레이션의 경우는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고 내용물의 용량 혹은 크기가 줄어드는 것을 의미하고 결과적으로는 물가가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떤 품목들이 있는가?


기본적으로 가공식품에서 많이 보이는 현상입니다.

정육, 축산, 수산 같은 품목보다는 껌, 사탕, 과자, 빵, 음료 같은 품목에서 보이는 현상인데요.

슈링크플레이션 품목들
슈링크플레이션 품목

그 이유는 정육, 축산, 수산 같은 품목들은 대부분 kg단위로 구입하거나 판 단위로 구입하기 때문에 슈링크플레이션을 적용하기가 거의 불가능하지만 개별포장이 이루어져 있는 품목들의 경우 내용물의 총중량만을 표시하기 때문에 고객이 체감하기 힘들고 물품의 중량을 보고 구입하는 사람은 거의 없고 과거의 중량을 기억하는 사람 역시 없기 때문입니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가?


소비자의 심리적 안정감

소비자에게 가격이란 민감한 부분일 수밖에 없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품의 가격을 보고 소비를 결정하지 중량을 보고 소비를 결정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인데요.

슈링크플레이션 왜 생기는가
슈링크플레이션은 왜 생기는가

 

가격이 상승하면 소비자들은 소비를 망설이게 되고 소비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지지만 가격이 상승하지 않고 그대로라면 소비자들은 그 제품을 가격을 올리지 않는 좋은 제품으로 인식해 심리적 안정감을 갖고 지속적인 소비를 하게 됩니다.

 

기업의 이익

소비자에게 가격적으로 안정감을 줌으로써 소비자가 거부감 없이 소비를 하게 만들고 기업은 원가절감을 통해 이익을 얻고 가격을 올리지 않는 좋은 기업이라는 인식도 함께 얻을 수 있습니다.


슈링크플레이션 신고 및 가격비교


 

 

한국소비자원

 

www.kca.go.kr

슈링크플레이션 신고접수
슈링크플레이션 신고전화

 

한국소비자원에서 운영하는 참가격 사이트입니다.

해당 사이트는 슈링크플레이션을 신고할 수 있는 사이트이며 품목별로 평균가격을 알아볼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대형마트, 편의점, 슈퍼마켓 등 업체마다 형성된 평균가격을 알 수 있고 지역별, 기간별로 가격 상승빈도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들이 있습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한 번 방문해 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슈링크플레이션 나쁜 것 인가?


정부에서는 슈링크플레이션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 같은데요.

기업에서 상품의 성분, 용량을 변경할 경우 소비자들에게 정확하게 공개할 것을 요구했고 만약 소비자들에게 공개하지 않고 성분, 용량을 변경한 경우 최대 3천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고 합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은 나쁜가
슈링크플레이션은 나쁜것 인가

 

개인적인 생각으로 소비자들에게 공개하지 않고 변경한 것은 나쁘다고 생각하지만 슈링크플레이션 자체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도 제품을 구입할 때 가격을 보고 구입을 하지 용량을 보고 구입하는 경우는 없기 때문인데요.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면 소비자들은 소비를 망설이지만 가격이 그대로라면 소비자들은 망설임 없이 소비를 하게 됩니다.

기업은 원가절감을 통해 이익을 얻고 원활한 소비는 결국 경제를 활성화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공개 없이 변경은 나쁘다고 생각하지만 슈링크플레이션 자체는 무조건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맺음글


오늘은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해서 한 번 알아봤습니다.

소비자들에게 알리지 않고 변경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큰 문제가 아니라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너무 빠르게 상승하는 물가도 개선이 필요하고 거짓 없이 소비자들에게 공개할 수 있는 부분도 필요하고 서로서로 좋은 방향으로 진행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