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음식물쓰레기 기준

by 띄영s 2024. 7. 5.
반응형

2024년 7월부터는 쓰레기 분리배출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지불해야 한다고 합니다.

과태료는 예전부터 있었지만 그동안 그냥 눈감아주고 넘어갔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대충 버려도 괜찮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음식물쓰레기의 기준을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음식물쓰레기의 기준

우선적으로 음식물쓰레기로 분류되는 기준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한 것 같은데요.

기준을 어느 정도 알고 있으면 과태료를 지불해야 하는 상황은 최대한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좀 어렵더라도 어느 정도는 인지하고 있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음식물쓰레기로 분류되는 기준은 바로 "동물이 섭취할 수 있는 것", 재활용 가능한 것"이라고 합니다.

기준이 이렇다 보니 더 애매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는 것 같은데요.

 

  • 딱딱하고 질겨서 분해가 쉽지 않은 것
  • 염도가 너무 높아 사료나 퇴비로 제조 불가능한 것
  • 발효되지 않는 것

조금 더 쉽게 설명하자면 이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럼 각 항목마다 음식물쓰레기로 버릴 수 없는 것들이 무엇이 있는지도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음식물쓰레기로 버리지 못하는 것

반응형

음식물로 분류되는 것들은 종류가 다양하게 있습니다.

채소류, 과일류, 곡류, 육류 등 다양하게 존재하는데요.

각 항목마다 음식물쓰레기로 버리지 못하는 것들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음식물쓰레기 기준을 나타내는 사진
음식물쓰레기 기준

구분 일반폐기물로 지정
채소류 뿌리류 (쪽파, 대파, 미나리 등)
껍질류 (양파, 마늘, 옥수수 등)
대 (고추, 옥수수, 마늘 등)
고추씨
과일류 껍질류 (코코넛, 도토리, 파인애플, 밤 등)
씨 (복숭아, 살구, 감 등)
곡류 왕겨
육류 뼈, 털 (돼지, 소, 닭 등)
어패류 조개류 껍질, 갑각류 껍질, 생선뼈, 독성성분 음식물 (복어내장)
알껍질 계란, 메추리알 껍질
찌꺼기 한약재 찌꺼기, 티백, 차 찌꺼기, 원두 찌꺼기
분말 밀가루, 튀김가루, 전분가루, 부침가루, 고추가루 등

 

여기에 표기된 것 외에도 많은 것들이 있겠지만 이 정도만 인지하고 있다면 다른 음식물들도 일반쓰레기인지 음식물쓰레기인지 구분하기에 조금 더 쉬울 것 같습니다.

좀 힘들고 귀찮더라도 외우고 있는 것이 음식물쓰레기 배출하는데 더 유리하기 때문에 꼭 외우고 계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씽글벙글 서울(서울 1인가구 포털)

1인가구 안심해요. 서울시가 함께해요!

1in.seoul.go.kr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맺음글

오늘은 음식물쓰레기의 기준을 간단하게 알아보고 음식물로 버리면 안 되는 것들이 무엇이 있는지 한 번 알아봤습니다.

아는 내용도 있고 몰랐던 내용도 있었을 텐데요.

꼭 인지하고 계시고 음식물쓰레기를 잘못 배출해서 불이익당하는 일 없도록 바라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