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신용점수는 왜 기관마다 다를까?

by 띄영s 2023. 2. 5.
반응형

신용점수란 개개인의 신용도를 평가하는 점수입니다.

신용점수가 높다면 낮은 이자로 큰 금액을 빌리는데 유리할 수 있고

반대로 점수가 낮다면 이자가 높고 최악의 경우에는 돈을 빌릴 수 없기도 하죠.

신용점수를 평가하는 기관은 NICE, KCB 두가지 기관이 있는데요.

두 기관에서 평가하는 나의 신용점수는 다르게 표시되는데요.

오늘은 왜 점수가 다르게 나오는지 이유를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 기관별 신용점수 평가 우선순위 -

 

NICE 신용평가 순서 표
NICE 신용점수 평가 표

 

우선 NICE 기관에서 신용점수를 평가하는 우선순위 표 입니다.

NICE평가조회는 상환이력을 가장 우선순위로 보고 있습니다.

이 사람이 돈을 잘 갚아왔는지를 가장 중요하게 본다는 뜻 인데요.

사실 거래 형태와 부채 수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상환이력, 거래 형태, 부채 수준

모두 비중이 높은 편이라 "잘 갚아왔고 은행권에서만 돈을 빌리고 신용카드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이미 실행중인 상품 금액이 적을 경우에"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편하겠습니다.

 

KCB 신용점수 평가 표
KCB  신용점수 평가 우선순위 표

 

다음은 KCB인데요.

KCB는 일반 고객과 장기 연체 이력이 있는 고객의 점수 평가 우선순위가 다릅니다.

일반고객에게는 거래 형태와 부채 수준을 보고 장기 연체 이력이 있는 고객에게는

상환이력과 거래 형태를 우선으로 봅니다.

그렇다고 다른 부분이 비중이 낮은 것은 아니니 주의하셔야합니다.

일반 고객은 "은행권에서 주로 돈을 빌렸으며 이미 실행한 상품 금액이 너무 크지 않을때"좋은 점수를

받을 확률이 높아지고

장기 연체 고객은 "돈을 잘 갚았고 그 상품을 은행권에서 주로 실행했을 경우에"좋은 점수를

받을 확률이 높아진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