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정기적금 정기예금 어떻게 다를까

by 띄영s 2024. 2. 10.
반응형

목돈이라는 것은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고 원하는 것인데요.

목돈을 만드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일반적인 사람들은 적금 혹은 예금을 이용해 이자를 받아 자신의 자산을 불려 나가고는 합니다.

그런데 사회 초년생 분들은 적금과 예금의 차이를 잘 모를 수 있을 것 같아서 간단하게 한 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어떻게 다른가


적금 예금 차이점
정기적금 정기예금

 

아직 잘 모르는 사회 초년생 분들은 적금이든 예금이든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도 똑같고 이자가 나오는 것도 똑같은데 뭐가 다른 거지?

하고 의문점을 가질 수 있고 잘 알아보지 않으면 비효율적으로 저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차이를 알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어떤 방식이든 저축이라는 것은 좋은 방법이지만 효율성이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그쪽으로 하는 것이 더 좋겠죠?

 

반응형

정기적금

정기적금은 매달 정해진 날짜에 정해진 금액을 저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신이 원하는 기간, 금액을 정하고 그 기간 동안 매달 자신이 정한 금액을 저축하면 만기 시에 이자를 플러스해서 자산을 불려 나갈 수 있는 저축방법입니다.

 

정기예금

정기예금은 일정 금액을 정해진 기간 동안 보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신이 원하는 기간, 금액을 정하고 그 금액을 한 번에 저축해서 정해진 기간 동안 은행에 맡기고 만기 시에 이자를 받아 자산을 불려 나갈 수 있는 저축방법입니다.


자신에게 맞는 방법 선택하기


정기적금과 정기예금 모두 좋은 저축상품이지만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각자의 상황마다 효율성이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적금을 하는 것이 좋고 어떤 사람은 예금을 하는 것이 좋은데요.

어떤 상황에 어떤 상품이 좋은지 간단하게 알아볼게요.

  • 정기적금 : 목돈을 모으기 위해서 저축을 통해 이자를 받아 목돈을 모으고 싶은 사람
  • 정기예금 : 모아놓은 목돈을 이용해 이자를 받아 자산을 불리고 싶은 사람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이렇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적금은 매달 정해진 금액을 저축해야 하고 예금은 정해진 기간 동안 목돈을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각자의 상황에 따라 효율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축
저축

 

그래서 정기적금으로 시작해서 돈을 모으고 정기예금으로 넘어가서 목돈을 불리고 그 후에는 모인 자산으로 정기예금을 이용하면서 근로소득을 이용해 정기적금을 같이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불려 나가는 것 이죠.


왜 이자를 줄까


은행에서 고객에게 이자를 주는 이유는 일반 사람들이 다 알 수 없을 만큼 다양할 텐데요.

그래도 생각을 해보면 몇 가지는 예상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은행에서 고객에게 주는 이자는 일종의 마케팅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은데요.

고객을 모으기 위한 전략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자
이자

 

가격이 저렴한 마트를 더 자주 이용하는 것처럼 이자를 조금 더 많이 주는 은행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은행은 고객이 많을수록 확보할 수 있는 자금이 늘어나기 때문에 좋습니다.

은행에 자금이 많아지면 은행에서는 뭐가 좋고 그 자금으로 무엇을 할까요?

 

  • 대출 : 많은 고객들을 확보하고 자금이 많아지면 대출상품을 통해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주고 빌려준 사람들에게 이자를 받아 수익을 창출합니다.
  • 투자 : 모인 자금을 활용해서 주식, 채권, 외환과 같은 상품에 투자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이것 외에도 다양한 수익구조가 있을 테고 각 은행들은 자신들의 수익활동을 위해서 고객들을 모아 자신의 은행에 자금이 모이게 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객은 많은 이자를 받고 은행은 많은 고객을 확보해 자금을 모으고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입니다.

서로서로 좋은 구조라고 볼 수 있겠네요.


맺음글


정기적금과 정기예금에 대해서 한 번 알아봤는데요.

큰 차이가 없는 것 같으면서도 꽤 큰 차이가 나는 상품들입니다.

자신의 현재 상황과 맞는 상품을 선택해 최고의 효율을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